풀스택 개발의 진실 (개발자 조언)
요즘 채용시장을 보고 있노라면 죄다 풀스택 개발자만 모집하고 있다. 감히 신입 개발자들은 지원 자격조차 할 수 없는 형국이다. 정규직, 계약직 할 것 없이 한정된 급여로 최대한의 스펙을 보유한 개발자를 뽑고 싶어하는 것은 이해할만 하다.
30년차 개발자들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작금의 현실이 어처구니 없다는 반응뿐이다. 수십년의 경력을 보유한 개발자들도 지금의 현실을 만들어낸 중간업체 일명 보도방들의 갈취와 현실감각 없는 현업들의 무리한 스펙요구는 취업시장을 교란하는 행위라고 질타한다. 수 천만에서 수 억 건 이상의 데이터를 다루는 부장급 개발자들의 의견도 다를바없다.
풀스택 포지션으로 프로젝트에 들어가보면, 특히 직전 SK 프로젝트에 앉아있는 대부분의 개발자들도 분명 풀스택개발자들인데 열에 아홉은 백엔드 또는 프론트 개발자다. 즉 자신의 메인 포지션에 조금 더 할수 있는 역량이 있을뿐이다. 풀스택 개발자라 함은 프론트와 백엔드 포지션을 넘나들며 자유롭게 서비스를 만들고 쿼리 1000만건 정도를 다룰수 있는 정도의 수준을 뜻하는 것이다.
![]() |
풀스택 개발 인터페이스 샘플 코드 |
인터페이스와 백오피스를 넘어 화면 설계와 구성을 할 수 있는 정도가 되어야 진정한 풀스택이며 공통 아키텍쳐의 자격이 주어지는 것이다.
사실 나역시 풀스택 개발자로서 역량이 부족함을 인정하며 반성하고 있다. S나는 개발자가 되고 싶은 친구들에게 항상 자기개발과 탐구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아직도 변함없는 진실이며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짐을 잊어서는 안될것이다.
댓글
댓글 쓰기